철거와 샷시 시공과 거의 동시에 진행된 것이 문(짝)틀 작업이었다. (기존에 모든 문짝과 문틀이 함께 철거되었고) 각 방 입구에는 목공 문틀이 세워져있었는데 세월의 흔적으로 방문 입구들이 조금씩 틀어진건지 아니면, 원래 문틀과 기존 입구에는 뭘해도 틈이 생기는건지 사이사이를 무언가로 메꾸어 문틀이 잘 고정되게 해놓은 그런상태로 2~3일을 보낸 듯. 그리고 생각보다 일찍 공사장에 도착한 것이 문틀의 짝꿍인 문짝들. 각 방문의 선택은 일찍이 인테리어 전시장을 방문하여 집안 전체적인 분위기, 컨셉에 맞춰 문색깔 선택. 그리고 우리집의 경우 흰색의 단조로움을 조금 커버하고자 방문에 모양을 좀 넣기로 했다. 실제 인테리어 전시장을 가보니 흰색도 모두 같은 흰색이 아니고 방문에 들어가는 목공 무늬도 선택장애를 유발..
2020년에 이사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1. 지역맘 까페 검색으로 공통 명함 찾기 이사.최소 2년 ~ 최대 10년까지 단기간 반복은 되는 과정도 아니고스트레스지수로는 이혼만큼이나 신경다발들을 은근 자극하는 (무슨 연구결과에 따르면...) 머리아픈 과정이기도 하다게다가 아침저녁으로 집을 드나드는? 지역기반 네트웍 꽝인 워킹맘 입장에서어따 물어봐야해~ 이럴땐 역시 답정너 =지역맘까페^^ '이사' '이사견적' '이사업체추천'라고 썼더니 페이지를 넘기고 넘기고 또 넘기고...어따 물어봐야 하냐면, 여기가 이사업체정보 맛집. 다음은 양질의 정보 가리기 이심전심이라고, 저런 문의글에는 정말 알뜰살뜰 본인의 이사경험을 상세히 소개하는지역맘들의 진심어린 정보가 있는가 하면인듯아닌듯 업체쪽 홍보성 글들이 섞여있는데 (백퍼..
1. 아파트리모델링의 시작은 철거부터 올수리 아파트의 시작은 철거로부터 시작된다 먼저 업체에서 관리사무소에 공사를 통보?허락?받고 아파트현관에 공사 안내문 을 붙이게 된다 실공사 기간보다 공사기간을 일주일 더 길게 고지한 점이 눈에 띄었다. (안내한 것 보다 길어지는 것보다야, 안내한 것 보다 짧아지는 편이 한결 부드러우니까?!) 2. 아파트리모델링 일정 토일빼고 워킹데이 기준 14일 일정의 순서는 대략 이렇다. 철거 1일 →창호설치1일 → 타일공사/목공사1일 →타일공사 1일 →전기공사 2일 →도배2일→칠1일 →욕실공사/필름공사1일→마루공사1일→주방가구공사 2일→마감1일 (대체로 이 일정으로 진행되나 조금씩 바뀌기도, 겹치기도 하는 듯 3. 철거시작 철거를 시작하면서 알게되었다. 계획대로 예산대로 진행되..
내돈내산 집 마련의 필수과정은 은행 대출이 아닐까 싶다.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은행대출 없이 턱~하고 내집마련하는 경우는 최소 은수저이상 레벨 아니면 현실감 없다. 게다가 살고 있는 집 전세가 안나간 상황에서 매매계약과 일정기간 리모델링이 먼저 진행되어야 하는 상황으로 은행 대출을 최대한 (이빠이~) 받아야 했다. 보통 아파트 은행 대출의 기준점은 KB 시세조회(주택실거래) 기준 최대 60%~70% 수준 (물론 대출자의 컨디션 _ 해당 은행 외 타 금융거래 포함 대출 조건에 적합한지를 전제로) 한가지 Tip : 동일 아파트내에서도 층별 시세에 따라 특히 1층은 다르게 책정된다는 점 (1층은 보통 3천~5천까지, 타 층과 시세차가 나고 해당 매매가격이 대출 기준점이 됨) 마침, 비슷한 기간 아파트대출을 ..
아파트리모델링 업체 드디어 결정! 머리가 아프기 시작했다. 몇 군데는 통화로 또 그중 몇 군데는 상담과 공사중인 현장 미팅, 자재 선택까지... 이야기를 진행하면서 보이지 않는 내전까지 ㅠㅠ (특히 집안 대소사를 비교적 많이 공유하고 함께 결정하는 부부 혹은 룸메가 있다면 몇번의 크고 작은 신경전은 필수) 물론 언제나 그렇듯 결론은 '머니'다. 한정된 예산내 내 최대의 욕망을 실현 시켜줄 곳. (점심 메뉴 하나 결정 할때도 각 식당의 장단점이 빠르게 조합하여 그날의 컨디션, 날씨, 함께 동반하는 이에 따라 상황별 조합이 이루어지는... 이 복잡다단한 것이 선택의 프로세스인데) 천단위 이상의 금액으로, 최소 5년~10년이상, 공동거주자들의 찬사 혹은 비난을 두고두고 떠안고 선택해야 할 초이스는 사실 '머니..
지난번 리모델링 업체에 대해 간략히 나열했지만 업체 미팅 프로세스는 대략 이렇다. 1. 업체 사이트내 견적 의뢰 (대부분 견적서 양식이 사이트내 포맷팅 되어 있음) 업체에 따라 위에 이미지처럼 영역별 자재까지 세부적으로 작성하게 되어 있는 곳도 있고 (모르면 스킵도 가능 : 사실 처음 작성하다보면 자재까지 선택은 무리 무리~) 혹은 가장 기본적인 평형 선택과 리모델을 원하는 장소정도 선택 하는 것으로 단순하게 되어 있기도 하다. 2. 대략적인 견적 회신 (자동계산 또는 하루이틀 지나 별도 회신 )과 업체쪽 콜 (몇몇 업체는 리모델링 두달전 시점부터 견적 및 상담 가능하다고 회신을 홀딩함)로 대면 미팅 약속 3. 업체 미팅 이 과정을 통해 내가 처음 생각했던 부분 리모델링 3가지가 4가지...5가지..6가..
내돈내산 26년차 아파트는 주인이 살던 집으로 일부 수리도 되어있고, 1층임에도 불구하고 앞뒤 베란도 곰팡이나 (적어도 보기에는) 하자도 눈에 띄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사하면 못해도 10년은 살 집 처음 시작은 누구나 다 그렇듯....최소한만 고쳐야지 (라고 굳게 마음먹으며 시작하게 된다) 1. 형형색색 타일로 존재감 뿜뿜하는 현관 바닥과 벽은 빚을 내서라도 바꿀테다 2. 욕실 2개중 거실쪽은 최근 수리했다고 하니 두고, 안방 화장실은 (내 공간이니..ㅎ) 고쳐야겠고 3. 씽크대는 그래도 내집 사서 들어가는데 바꿔줘야 할 것 같고 4. 비용은 크지만 구아파트의 최대난제인 난방해결을 위해 샷시 교체는 필수 5. 더하기 필수는 도배와 장판. 이정도? 1+2+3+4+5= ???? 38평 아파트 ..
집도 운대가 맞아야 한다고 하던가. 사실 내돈내산 아파트 1탄은 소싯적~ 2005년 서울 강북 모처에 신규분양 30평대 아파트 지켜야했는데 (땅을 치고 후회는 이미 할 만큼 했고) 지키지 못했다. (오늘 글쓰려고 네이버 부동산 들어갔다가....구매시점 대비 두배도 훌쩍 넘은 집값 보고 다시한번 좌절 ㅜㅜ) 나중에 언제고 마음먹으면 다시 살 줄 알았다. 그렇게 철딱서니 없는 부동산 입문으로 부터 세월이 흘러 흘러 강산이 변하고 맞이한 올해 초 내돈내산으론 언감생시 서울입성의 꿈은 이제 고히 보내드리고... 공기좋고 살기좋은(이것은 팩트!) 일산 모처에 26년차 아파트 계약 집값이 오를까 내릴까.... 다~ 내려놓고 내돈내산(은 아직도 아니다. 이번엔 타 은행보다 조건 좋은 W와 함께 ) 26년차 아파트는,..